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09년 서울시 가축육종 5

축산직 공무원이 되어 여행의 발자국을 많이 남기세요~ 2025. 6. 4. 22:53
반응형

5. 잡종교배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열성유전자 발현의 억제

잡종강세효과의 극대화

품종 간 상보성의 이용

상가적 유전효과의 극대화

 

 

*정답해설: 방통대 가축육종학 p.375, 개인생각

 

잡종에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은 교배되는 품종들간에 서로 상이하게 조성되어 있었던 상가적 유전자들의 상호보완 현상과 비상가적 유전자들의 상호작용에 기인된 잡종강세의 발현 결과 이다, 상가적 유전효과의 극대화는 잡종교배에 따른 효과(결과)로 보는게 맞을것 같다.

 

 

*오답해설: 방통대 가축육종학 p.300

품종간교배나 계통간교배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품종간교배나 계통간교배는 잡종강세를 이용하고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어느 품종이나 계통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품종간교배나 계통간교배는 새로운 품종이나 계통을 만들 때 이용될 수 있다.”

 

*참고:잡종교배(방통대 가축육종학 p.299)

잡종교배(crossbreeding) 또는 교잡이라는 말이 흔히 사용되는데, 잡종교배는 대부분의 경우 품종간교배를 의미한다. 그러나 잡종교배는 사람에 따라 계통간교배, 종간교배, 속간교배 또는 누진교배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근친교배가 동형접합체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이형접합체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데 반하여, 품종간교배나 계통간교배는 이형접합체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동형접합체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품종간 교잡종과 계통간 교잡종은 순종(purebred)에 비하여 활력이 강하고 번식능력·성장률·생존울 등에 있어서 우수한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잡종강세(heterosis, hybrid vigor)라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