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09년 서울시 가축육종 8번

축산직 공무원이 되어 여행의 발자국을 많이 남기세요~ 2025. 6. 7. 20:48
반응형

2009년 서울시 가축육종 8번
2009년 서울시 가축육종 8번

 

방통대 가축육종 p64 

F2의 유전자형 및 표현형의 종류수는 각각 3n(3의 n승) 과 2n(2의 n승)으로 된다.

예를 들어 대립형질의 수가 3쌍이면 F1의 양성에 의해 가능한 배우자의 총 조합수는 

4의 3승 = 64이고, F2의 유전자형 종류수는 3의 3승=27이며, F2의 표현형 종류수는 2의 3승=8이 된다.

 

처음에 위 문제를 풀때 저는 위 대립형질의 수 부분을 동형이든 이형이든 각각 모두 대립형질이라 생각하고 풀었어요..

안풀리더라고요..;;; 3의 5승, 2의 5승 하면 243, 32 이면 위 보기에 아예없네요,,

 

그래서 대립형질의 수를 동형은 빼고 이형접합체 즉 아비는 Aa, Cc, Dd 3가지, 어미는 Bb, Cc, Dd, Ee 4가지

유전자형 종류수로 계산을 하면 3의 3승, 3의 4승 즉 27과 81 보기에 역시 없죠?

그래서 표현형 종류수 구하는 공식인 2의 3승과 2의 4승 해서 8과 16 이렇게 구했네요;;;

 

시험시간 마지막까지 가지고 있다가 다른 문제 다 풀고 이문제는 위의 방식으로 맞고 품은 문제였습니다..

블로그에 위 문제의 해설때문에 빼려다가 그냥 제가 푼 방법이라도 올려드리자는 생각에 올리긴 합니다...

 

더 좋은 풀이 방식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다시 수정하여 올리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